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팅 기본 용어 정리(1)

by 복돌스 2023. 2. 5.

광고 기본 용어

1. 검색 광고(Search Advertising)

 검색 엔진에서 검색한 키워드를 노출시키는 광고를 말한다. 사용자가 포털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할 때, 해당 키워드와 매칭된 광고를 텍스트 위주로 보여주는 광고이다. 국내에서 활용되는 주요 매체로는 네이버, 카카오(다음), 구글 등이 있다. 키워드 광고, 서치 애드, 줄여서 SA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시: 네이버 파워링크 / 출처: 네이버)

 

 

2. 디스플레이 광고(Display Advertising)

 말 그대로 전시되는 형태의 광고이다. 포털 사이트, 각종 커뮤니티 등 각종 지면에 노출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의 광고를 말한다. 배너 광고 혹은 DA라고 부르기도 하며, 주요 매체로는 구글의 GDN, 네이버의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카카오의 카카오모먼트 등이 있다.

 

(예시: 카카오모먼트 디스플레이 광고 / 출처: 카카오)

 

3. SNS 광고

 SNS 플랫폼을 활용하여, 해당 채널에 송출하는 광고이다. 광고가 노출되는 형태에 따라 검색 광고가 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광고가 될 수도 있는데,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콘텐츠 비중이 큰 SNS 특성 상 주로 디스플레이 광고의 형태의 상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주요 매체로는 메타(페이스북&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 밴드 등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SNS는 대부분 광고 상품을 가지고 있다.

(예시: 인스타그램 피드 광고 / 출처: 메타)

 

4. 바이럴 광고(Viral Marketing)

 단어 그대로 바이러스처럼 전파력이 높은 입소문 광고이다. 블로그, 카페, 커뮤니티,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해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정보를 제공하여, 기업의 신뢰도와 인지도를 상승시키고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마케팅 방식이다. 신뢰도를 얻기 위해 광고가 아닌 것처럼 보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바이럴 광고의 특징이기도 하다.

(예시: 카페 바이럴 광고 / 출처: 중고나라 네이버 카페)

 

5. 온드 미디어(Owend Media)

 조직 혹은 개인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미디어를 말한다. 각 브랜드들의 공식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그 등이 온드 미디어에 해당한다. 이런 온드 미디어를 활용할 경우 특정 매체에 대한 광고비를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논-페이드 미디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시: 이니스프리 공식 인스타그램 / 출처: 이니스프리 & 인스타그램)

 

6. 페이드 미디어(Paid Media)

 조직이나 개인이 온/오프라인 채널에 광고를 집행하고, 이에 대한 채널 이용료를 지불하는 미디어. 광고를 집행했을 때, 광고비가 발생하는 채널은 모두 페이드 미디어라고 생각해도 좋다. 앞서 설명한 SA, DA 등 뿐만 아니라 TVCF, 라디오, 신문, 잡지 광고 등 비용이 발생하는 채널이 이에 해당한다.

 

7. 오가닉 유저(Organic User)

 광고의 영향 없이 자연적으로 유입된 유저들을 이야기한다. 예시를 들자면, 네이버에서 특정 브랜드를 검색한 후 브랜드 검색이나 파워링크를 클릭해서 유입된 유저는 광고로 유입된 유저이지만, 이와 반대로 직접 링크를 입력해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한다거나,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더라도 광고 지면이 아닌 곳을 통해 유입된다면 오가닉 유저로 분류된다. 

 

8. 미디어 믹스(Media Mix)

 KPI를 달성하기 위해 정해진 예산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도록 수립한 미디어 운영 계획이다. 운영할 광고 매체 및 상품, 매체별 광고비, 성과 시뮬레이션, 타겟팅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광고 운영의 기반이 되기에 미디어 믹스를 잘 수립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뛰어난 마케터가 되기 위해선 이 미디어 믹스를 잘 짜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9. 입찰가

 특정 광고 구좌의 경우 실시간으로 입찰 경쟁으로 매매가 진행되는데, 이 광고 인벤토리를 확보하기 위해 지불하는 희망 금액을 뜻한다. 온라인 광고가 활발해지며, 인기있는 광고 구좌의 경우 이 구좌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데, 이를 합리적으로 사고 팔기 위해 RTB(Real Time Bidding)이라는 거래 방식이 도입되었다. 즉, 실시간으로 희망하는 구좌를 사기 위해 경매가 이루어 진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때 광고주 혹은 광고 대행사의 AE가 지불하는 금액이 입찰가이며, 입찰가는 CPC(클링 당 비용), CPM(광고 1,000회 노출 당 비용) 등의 형태로 과금된다.

 

10. RTB(Real Time Bidding, 실시간 입찰 방식)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광고주가 해당 광고 지면을 점유하게 되는 실시간 경매 방식을 의미한다.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RTB 상품으로는 네이버 파워링크가 있는데, 가장 높은 CPC를 제시한 광고주가 가장 상단의 지면을 점유할 수 있다.

 

11. 쿼리(Qurey)

 영 단어 의미와는 조금 다른 의미로, 검색 광고에서 키워드 검색 수, 키워드 조회 수의 의미로 활용된다. "쿼리 수가 높은 키워드"는 검색량이 많은 키워드를 뜻한다.

 

12. 랜딩 페이지(Landing Page)

 광고를 클릭했을 때 도착하는 페이지를 뜻한다. 랜딩 페이지를 적절하게 세팅하는 것이 광고의 성과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캠핑 브랜드에서 네이버 파워링크를 집행한다고 가정해보자. 텐트라는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노출되는 파워링크를 클릭했을 경우, 전략에 따라 텐트 카테고리 페이지로 도착하게 할 수도 있고, 혹은 텐트를 특가로 판매하는 이벤트 페이지로 도착하게 할 수도 있고, 주력으로 판매하는 텐트의 제품 상세 페이지로 보낼 수도 있다. 이처럼 랜딩 페이지는 마케터의 의도에 따라 굉장히 다양한 형태로 세팅이 가능하다. 다만 키워드 혹은 배너 소재와 연관도가 너무 떨어지는 랜딩 페이지를 세팅하게 될 경우, 성과가 크게 하락할 수 있으며, 매체에 따라서는 랜딩 페이지와 소재의 연관도가 낮다는 사유로 검수에서 반려되는 경우도 많다.

 

오늘은 마케팅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마음에 아주 기초적인 광고 용어에 대한 설명을 기록해봤다. 아직 설명할 용어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한동안은 용어 설명이 포스팅의 주가 되지 않을까 싶다.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포먼스 마케팅이란? (주관적 의견 포함)  (0) 2023.01.25